반응형

오늘은 백준에서 문제를 풀고 나름대로 코드를 작성해서 입력을 했는데도.. 

계속 런타임에러나 컴파일 에러가 나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고자!!

제가 이해한 내용을 포스팅합니다~

 

 

먼저, 가장 기본 문제 중 1000번을 가지고 와보았습니다.

 

 

 

두 정수 A와 B를 입력받은 다음, A+B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

 

입력 : 첫째 줄에 A와 B가 주어진다. (0 < A, B < 10)

저는 이 부분을 생각해보지 않고 마음대로 

 
A = 5
B = 2
print(A+B)

처음에 이런 식으로 코드를 작성했었습니다..!

이렇게 코드를 작성하면 컴퓨터 입장에서는 입력칸에 주어진 조건대로 두 정수 A와 B를 입력하는데, 이를 받지 않고

print()를 작성해버리니 계속 에러가 뜰 수 밖에 없었던 것이죠.

 

그래서 입력 부분의 A와 B를 각각 받아 변수에 저장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해주었습니다. 

 
a,b = map(int,input().split())

 

이렇게 작성해주면 입력 받은 값을 공백을 기준으로 앞과 뒤를 나누어주고 이를 정수형(int)로 바꾸어 변수를
 
a와 b에 저장할 수 있게 됩니다! 
 
# 참고
 
map(,)함수는 뒤의 값을 앞의 자료형으로 바꾸어줍니다. (리스트 안에 있는 모든 값을 특정 자료형으로 바꿀 때 사용됩니다.)
input()은 사용자에게 값을 입력받을 때 사용하는 함수입니다.
split()은 ()안의 특정 값으로 (',')일 때는 ,를 기준으로 문자열을 나누어(slicing) 리스트 형태로 저장합니다.
 
 

이를 알게 된 이후로  10869번 사칙연산을 풀어봤어요!
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. 이때, A+B, A-B, A*B, A/B(몫), A%B(나머지)를 출력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. 
 
입력 : 두 자연수 A와 B가 주어진다. (1 ≤ A, B ≤ 10,000)

입력을 고려해서 아래와 같이 코드를 작성했더니 잘 출력이 되었습니다.

A,B=map(int,input().split())
print(A+B)
print(A-B)
print(A*B)
print(A//B)
print(A%B)
파이썬에서 사칙연산
더하기 : +
빼기 : -
곱하기 : *
몫 : //
나머지 : %
나누기 : /
 
다음 포스팅에서는 실제 사칙연산 함수의 코드를 작성해볼게요!
반응형

+ Recent posts